지난 4월 전남 순천에서 가장 오래된 모교회인 순천중앙교회에 새 담임목사가 취임했다. 그의 첫마디는 자신의 연봉을 깎자는 제안이었다. “두 아들이 이미 학업을 마쳤고, 이제 부부만 사니, 좀 적게 받아도 됩니다.” 장로들은 예전 담임목사에 대한 예우를 근거로 그에게 대형 승용차 ‘에쿠스’를 지원해주겠다고 했다. 그러나 그는 ‘아반떼’면 된다고 고집했다. 결국 서로 양보해 그는 중형인 ‘소나타’를 손수운전하기로 했다. 최근엔 장로들이 새해 호봉에 따라 연봉도 올린다고 전하자 그는 자신보다 부목사들에게 월급을 더 줄 것을 권했다. ‘교회에서 이런 본을 보이지 않고 세상이 바뀌길 기대할 수 있겠느냐’는 뜻이었다. 특히 그는 심방 때 대접하는 식사를 설렁탕과 자장면 등 단품에 1만원 이하로 못박았다. 그러자 담임목사의 심방을 부담스러워하던 가난한 교인들도 “목사님과 식사 한번 하고 싶다”며 줄을 섰다. 새 목사는 부임 뒤 가장 먼저 동사무소를 찾아가 “우리교회가 도와줄 일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동장은 “제가 교회를 찾아다니며 협조를 구한 적은 있지만, 이렇게 큰교회 목사님이 직접 찾아와 물어본 것은 처음이다”고 감격해했다. 지난 8개월간 변화를 이끌어 교인들을 행복하게 해준 주인공, 홍인식(60) 목사를 순천시 매곡동 교회로 찾았다.
고2때 가난 피해 파라과이로 이민
“반드시 성공해 한국에 복수” 결심
대학때 ‘리베라시옹’ 눈떠 신학으로 국내 유일 해방신학 전공 목회자
40여년만에 귀국 ‘파격 실천’ 화제
“교회가 먼저 도와줄 일 물어야죠”
홍 목사는 우리나라 유일의 해방신학자 목사다. 해방신학은 1960~70년대 남미에서 성직자들이 군부독재의 억압과 빈부 격차로 고통받는 빈자들과 피압박민들의 처지에서 경제적 불평등 구조와 부정의의 해소를 주장한 신학이다. 이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선 민중신학이 태동해 기독교의 반독재투쟁을 주도했다. 남미 아르헨티나 출신의 프란치스코 교황이 사회 정의를 외치며 다시 주목받고 있는 해방신학은 여전히 세계 신학계의 주류 중 하나다. 그러나 보수우익을 대변하는 한국 기독교의 주류는 해방신학을 여전히 ‘빨갱이신학’으로 치부하며 배타하고 있다. 그런데 순천중앙교회 교인들이 3분의 2의 찬성 투표로 그를 담임으로 선택한 것이다. 홍 목사는 부임하자마자 병들고 가난한 교인들을 찾아다니며 위로하고, 목사실 문을 밖에서 누구나 열 수 있게 바꿨다. 교회 분위기가 밝아지며, 출석 교인도 800여명에서 900여명으로 늘었다. 행복해진 것은 교인들만이 아니다. 그는 “사회가 교회를 위해 있는 게 아니고, 교회가 사회를 위해 있는 것”이라면서 지역사회에 대한 교회의 봉사와 헌신을 강조한다. 최근엔 한 남성이 찾아와 “교인은 아니지만 아버지의 장례예식을 교회에서 치르고 싶다”고 요청하자 선뜻 받아들이기도 했다. 그는 오는 크리스마스 때도 아카펠라 그룹을 초청해 복음성가가 아닌 클래식과 대중음악 위주의 성탄송을 들려줄 계획이다. 동네 주민들을 위한 서비스다.홍 목사는 어떻게 자신의 욕망을 절제할 수 있었을까. 그는 “젊은 시절 나 역시 성공지향주의자였다”고 ‘의외의’ 고백을 했다. 그는 고2 때 어머니를 따라 누나·여동생과 함께 남미 파라과이로 이민을 갔다. ‘찢어지게’ 가난한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한다. 그는 중·고교 시절 전교 1등을 할만큼 공부를 잘했다. 그런데 서울 영등포에 있던 중학교 때 분기에 한번씩 내는 몇천원의 납부금을 내지 못해 등교정지처분을 받아야 했다. 수업 도중 책가방을 싸서 서울역 부근 집으로 걸어오는 내내 눈물을 흘렸다. 그래서 한국을 떠나면서 “반드시 성공해 세상에 복수하고야 말겠다”고 다짐했다. 비행기표조차 24개월 할부로 마련해 무일푼으로 간 이역만리에서 그는 가족의 생계를 위해 옷보따리 행상을 하며 고학한 끝에 명문 국립대학 경영학과에 진학했다. 그런데 대학 2학년이던 1982년 서점에서 ‘리베라시옹’(해방)이란 단어가 눈에 띄어 집어든 책이 그의 삶을 바꾸었다. 해방신학자 구티에레스 신부의 책이었다. 그는 “가난은 나만 성공한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라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데 생각이 이르자 성공 지향을 버리고, 아르헨티나연합신학대학에서 해방신학을 전공했다.그는 한국 복음주의 진영의 지침으로 통하는 ‘로잔언약’에 개인 구원을 넘어선 사회 구원의 개념을 명시하게 한 ‘통전적 선교’의 창시자인 레네 파딜랴 목사의 카이로스센터에서 함께 일하고, 아르헨티나·칠레·쿠바·멕시코의 명문 신학대학에서 강의했다. 또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30여개 한인교회 중 중심교회인 신성교회 담임을 맡을 때는 쌀과 밀가루를 한 포대씩 더 사자는 식량보따리운동을 펼쳐 굶주리는 이웃을 도우며 남미 한인교회의 개혁을 주도했다. 그는 교회에 부임한 뒤 ‘교회는 무엇인가’, ‘하나님은 누구인가’ 등 가장 원론적인 설교를 이어갔다. 그리고 정치적 중립이라는 이름으로 기득권을 편드는 하나님이 아니라 약한 자를 우선적으로 택한 하나님의 진정한 공평을 드러냈다. 그리고 청년 14명과 함께 7주간 마커스 보그의 <그리스도 신앙을 말하다>란 책을 독회했다. 구원은 죽어서 천국 가는 게 아니고 사회의 변화, 여기서의 변화라고 얘기하는 책이다. 처음에 기존의 신앙관과 다른 논리에 혼동스러워하던 청년들은 우리가 사회를 변화시킴으로서 천국을 만들어갈 수 있다는 진리에 희열을 느꼈다고 입을 모았다.최근 <홍인식 목사가 쉽께 쓴 해방신학 이야기>(신앙과 지성사 펴냄)을 낸 그는 기존 신학에서는 ‘권력은 하나님으로부터 오고 결국 잘잘못은 하나님이 심판할 것이기 때문에 부당하더라도 권력에 복종할 것을 요구하지만, 해방신학은 부당한 권세는 하늘로부터 온 것이 아님을 깨닫게 한다’고 말한다. 그는 신학이 바뀌어야 교회가 바뀌고 세상이 바뀐다고 말한다. 나아가 그 자신 실현하고 있다.
순천/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religious/772926.html
댓글을 남겨주세요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