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루터가 묻는다 “한국교회는 지금,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 – 종교개혁 500주년 맞아 루터 재조명 책 출간 봇물
2017년 10월 한국사회는 500년 전 독일에서 ‘종교개혁’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수도사 마르틴 루터의 재발견 작업이 한창이다. 10월 31일은 1517년 그날 루터가 비텐베르크성 교회문에 면죄부 문제를 따지기 위해 95개조 반박문을 붙였다고 알려지면서 기념일이 된 날이다. 이를 앞두고 다방면에서 루터를 재조명하는 책들이 쏟아지고 있다. 독일교회가 한국에 파송한 이말테(루터대) 교수는 ‘서울에서 만난 루터’(신앙과지성사)를 내놨다. 그는 독일에 유학 중이던 아내 한정애(협성대 신학과) 교수의 모국을 이해하려고 5년 계획으로 한국을 찾았다가 25년째 뿌리를 박고 있다. 외부자인 동시에 내부인의 입장에서 날 선 비판을 하며 한국교회 곳곳을 찌른다. 이 교수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한국 개신교의 급속한 양적 성장기가 끝나고 위기에 처했다”며 한국교회에 종교개혁의 잣대를 들이댄다. 그는 ‘교단 내 금권선거’ ‘장로임직과 헌금의 상관관계’ ‘교회의 세습’ 등을 언급하며 “500년 전 종교개혁의 시발점이 됐던 성직매매의 현대판”이라고 꼬집는다. 그는 “헌금이 예배 중 가장 중요한 순서로 느껴지고 교회 안에서 벌어진 갈등을 사회법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은 이미 본질을 잃어버린 기독교의 자화상”이라고 말한다. 신학교육 개혁도 주문한다. 이 교수는 “종교개혁 시대 천주교회의 약점 중 하나는 성직자들의 낮은 교육수준이었다”면서 “지금의 한국교회도 일반 성도들의 교육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목사들이 더 많다”고 지적한다. 올해 종교개혁 500주년을 조명하는 각종 세미나와 포럼의 단골강사로 나섰던 그는 한글 표현에 능숙하지 못하다며 양해를 구한다. 하지만 한국교회를 향한 애정 어린 지적엔 능숙함을 넘어 신랄함마저 느껴진다. ‘종교개혁, 그리고 이후 500년’(을유문화사)는 두 명의 교회사 전문가와 한 명의 기독활동가가 손잡고 기획한 책이다. 라은성 총신대 교수가 16세기 종교개혁 사건으로 시작한 개신교의 역사를 20세기까지 개관한다. 이어 이상규 고신대 교수가 복음이 전래된 이후 한국의 교회사를 훑어본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복음주의 연합운동을 펼쳐온 양희송 청어람ARMC 대표가 현재 한국교회를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박찬호 백석대 교수는 ‘개신교는 가톨릭을 이길 수 있을까?’(CLC)에서 목사이자 기독교 학자로서 솔직한 질문을 던진다. 루터를 통해 시작된 개신교가 종교개혁의 반동으로 자기갱신을 이어온 가톨릭을 어떻게 상대할 수 있을지를 노골적으로 다룬다. 국내 저자로는 서울대 서양사학과 박흥식 교수가 ‘미완의 개혁가, 마르틴 루터’(21세기북스)에서 역사가의 관점에서 루터의 한계를 조목조목 비판한다. 박 교수는 “루터는 복음이 하느님(하나님의 가톨릭 표기)의 약속을 선포하는 것이지 사회의 윤리적인 갱신을 권고하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루터는 세상의 변화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으며, 성경이라는 창을 통해서만 세상을 이해하려 했다”고 꼬집는다. 그러면서 “개신교가 가톨릭의 부패를 비판하며 그로부터 이탈해 독립한 지 500년이 지난 지금, 다수의 시민들은 한국에서 개신교보다 가톨릭이나 교황이 더 개혁적이라고 평가한다”며 “개신교가 과연 바른 교회를 건설했는지, 오늘날 종교에 요청되는 자리에 서 있는지 평가해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한국교회가 기념만 하지 말고, 미완의 개혁을 완수하라는 다그침이 아프면서도 고맙게 느껴진다. 김나래 최기영 기자 narae@kmib.co.kr |
댓글을 남겨주세요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